* 고양이털 실험
어린쥐들을 대상.
고양이털 제시되자 놀이가 감소.
고양이털 제거 이후에도 놀이활동 활성이 예전처럼 회복이 안됨.
트라우마 가진 아이들은 고양이털 가득한 방에서 사는것.
심지어 고양이와 함께 살수도.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것이 중요.
고양이털 제거 불가능하다면 대처기능 습득시켜주는것이 바람직.
"고양이털이 편도체를 자극해 부정적인 정서가 의식을 마비시킨다."
"관계가 우선"
돌봄의 신호로 가득찬 곳.
1. 돌봄받는 느낌 어필 선행
2. 대인관계를 통한 정보교환
3. 돌봄 받는 느낌의 경험은 전환 될 수 있다.
"역전이" 발생시 이용.
내가 느끼는 답답함은 상대의 답답함.
* 부모의 죽음 ㅡ> 생의 발달과정중 일부
하지만 성장기 이전에는 치명적인 외상.
사회적 지지가 고통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
외상후 성장이 모두에게 일어나는것은 아님. 사회적 지지가 필요.
외상후 성장 후 변화
1. 자기와 세상에 대한 관점변화
2. 대인관계의 변화
3. 삶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변화
* 가족탄력성 / 개인탄력성 ㅡ> 외상후 성장에 도움.
혼란을 견디고 원위치로 돌아가는 상호작용.
잠재적인 회복과 성장을 확신.
* 가족탄력성은 개인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
* 의도적 반추가 외상후 성장에 기여.
외상후 일기 ㅡ> 의도적 반추 - 인지처리로 일기 > 침습적반추 정서로만 일기 실험
* 지각된 사회적 지지
같은환경이더라도
A가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10
B가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5
환경문제뿐만이 아니라 개인심리적 문제도 고려사항.
* 스트레스 대처방식
1. 문제중심적 대처
적극적 대처 ( 사회적 지지 대처 포함)
2. 정서 중심적 대처
소극적 대처 ( 소망적 사고대처 포함)
사회적 지지 대처 포함된 적극적 대처가 외상후 성장에 더 큰 기여.
외상후 성장은
1. 사회적지지
2. 가족탄력성
3. 의도적반추
4. 적극적대처 에 영향.
* 성폭력 윤간 가해자 집단 상담
"다시는 안하겠습니다." 왜 ?
피해자 공감 x. 우리 엄마 불쌍해서
그들 인식 수준에서는 그것이 최선.
"그래서 돌봄체계가 중요."
복지관 TST의 목표는 아동이 사회환경의 주가 되는게 아니라 변화시켜서 다른 사회로.
'조사해본것들 > 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T 치료원리 (0) | 2017.04.14 |
---|---|
사례 개념화 양식 (0) | 2017.04.10 |
정서상태, 외상후 성장, TCFF (0) | 2017.03.31 |
아동기외상과 성인기 우울 (0) | 2017.03.26 |
외상반응과 생존회로 (0) | 2017.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