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사해본것들/위기

아동기외상과 성인기 우울

아동기외상은 18세이전에 발생한 외상을 아동기 외상이라고 합니다.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성적 학대

4. 방임

 

위와 같은 트라우마가 지속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하는거죠.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특징으로는

 

무력감, 낮은 자아개념, 잘못된 인지적 대처방식이 있다고 합니다.

 

 

 

아동기 외상으로 인해서

 

 

1. 인지적 편향

2. 비판과 거부에 대한 두려움

3. 자기효능감 저하 (자기능력을 스스로 평가하는것 )
4. 통제소재 및 자기 비난

 

위의 현상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현상들은 성인 우울증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네요.

 

 

*초기 부적응 도식 : 유독 아동기 경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응 도식.

 

비수용 환경 ㅡ> 정서표현 양가성 (표현 vs 억제 갈등) 

 

 

*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들은 부적응적인 대처방식이 발달.

ex ) 회피

 

이러한 회피전략은 우울로 번질 가능성 농후.

 

 

 

* 성공한 사람 vs 실패한 사람.

 

외상은 소중한 경험이었다 vs 외상은 나의 실패 이유였다.

 

 

 

*정서표현 양가성

 

1. 상대방이 거절할 거라는 부정적인 기대

2. 적절하게 표현못해 더 큰 갈등 초례할거라는 신념

 

정서표현에 갈등을 겪는 사람들은

 

1. 정서적 지원을 받기 힘들다

2. 사회적 지지 받을 가능성이 낮다

 

라는 특징이 있는데 이런 사람들이 문제발생시 회피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도움 요청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1. 아동기 외상은 성인기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2. 아동기 외상은 초기부적응 도식에 영향을 줍니다.

    인지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3. 아동기외상은 부적응도식을 형성하고, 부적응도식이 성인기 우울에 영향을 미칩니다.

 

4. 정서표현 양가성은 성인기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이는 문화권의 차이때문일지도 모르지만 표현과 억제사이에서 갈등하는 정서표현의 양가성은

 

동양문화권에서 겸양의 미덕으로 많이 쓰이고 있기때문에

 

정서표현양가성만으로 성인기우울을 확정짓기에는 문화권의 영향이 큽니다.

 

 

 

 

* 아동기 외상이 의심된다면...

 

 

1. 초기부적응도식

2. 정서표현양가성

3. 회피전략

 

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치료방법은 부정적 인지도식 변화.

 

 

 

*아동의 분노는 곧 생존.

 

3A4R

 

 

Awareness 자각

Affect 감정

Action 행동

 

Regulating 조절하기   - 참여

Reviving 활성화하기   - 대처기술

Reexperiencing 재경험하기 -극대화

Reconstituting 재구성하기 - 정서 수그러듦 , 이단계에서 안전하다는 자각. -> 인지적 쐐기

 

 

 

*내러티브 : 이야기치료 - 적응적경험 상기 vs PTSD에서의 디브리핑 부정적 .

 

내러티브의 중요한점은 단순 디브리핑이 아니라,

 

비언어화된 정서 (암묵적인 정서)를 언어화 시키게 도와줘서 정서조절에 도움/통제.

 

이것은 감각을 언어화하는 '부호화'

 

 

 

 

*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면 편도체와 해마가 동시에 활성화.

 

 

편도체 : 쉽게 화내는사람들이 더 쉽게 활성화. 더 위기상황이라고 느낌.

 

해마 :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

 

 

자극 >

 

감각과정 (편도체) >

 

맥락과정 (대뇌피질) >

 

의식 >

 

정서적/행동적 반응체계

 

 

 

*PTSD vs Non-PTSD 비교해보면

 

PTSD집단에서 편도체 과잉반응.

 

 

 

* 재난이후 침습기억

 

 

1. 왜내게 이런일이

2. flash back

3. 재경험

4. 회피

5. 예기불안, 과각성

 

 

 

대구지하철 생존자, 사고직후 기쁨. but 6개월후 "왜 살아 남았나?" "차라리 죽을걸."

 

자신의 감정 통제 X , 기억력과 집중력 저하. 불안.

 

PTSD.

 

 

 

* 높은 부하와 낮은부하

 

높은 부하 : 맥락적 / 인지적

 

낮은 부하 : 본능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해마의 활동이 축소. '옥시토신'분비. 안정화

 

돌봄체계안에서도 옥시토신.

 

 

 

높은 부하 도달을 위해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노력이 필요.

 

 

 

 

 

 

 

'조사해본것들 > 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환경과 돌봄체계  (0) 2017.04.10
정서상태, 외상후 성장, TCFF  (0) 2017.03.31
외상반응과 생존회로  (0) 2017.03.10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0) 2017.03.09
1장. 나는 왜 병신인가? - 트라우마  (4) 2017.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