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트라우마에 관심이 많은데 그에 관련해서
몇가지 조사해본것을 저를 위해 이곳에 메모해둬봅니다.
외상반응 -> 생존회로가 관여.
위험이 발생할 시에 우리는 그 위험한 상황을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 주관적인 판단은 외상반응의 근거가 됩니다.
예를 들어 산길에서 곰을 만나게 되는 위험상황에 놓이게 되었을 때 우리는 곰은 사람을 잡아먹기도 하는 맹수이니 죽을 수도 있겠다는 주관적인 판단을 하게되고, 이 주관적인 판단에 기인해서 우리의 생존회로는 작동하게 됩니다. 만약 생존회로의 영향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박동수가 빨라지고 맥박이 빨라지고 숨이 가빠지면서 도주하게 된다던지, 아니면 자율신경계가 과잉각성해서 온몸이 경직된다던지 하는 외상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생존회로는 우리의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지만 생존회로가 너무 과잉반응해서 나타나는 문제점도 많은데 대표적인 사례로는 공황장애가 있습니다. 공황장애란 과거의 트라우마나 기타 다른 이유들로 인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생존회로가 과잉반응하여 위험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쓸데없이 생명의 위협을 느끼게 된다던지 불필요한 불안을 느끼게 된다던지 하게 되어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게 되는 병이 되겠습니다.
위와 같은 공황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생존회로는 추가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사용해 볼 수 있겠습니다.
생존회로는 추가학습이 가능한데 감정을 조절하고, 공포에 대한 학습과 기억을 관장하는 편도체 활성화를 견제하고, 좋았던 기억과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해마체와 전두엽의 활성화를 강화하여 치료를 꾀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으로는 Herman의 3단계 과정이론을 기반으로한 트라우마 치료 모델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단계 |
치유기제 |
안전 |
외상 사건으로부터 거리두기. 아웃리치/옹호/정보제공/심리교육등 활용 |
기억과 애도반응 |
외상반응의 소거. 안정화,정서조절 능력의 확대, 외상기억 처리 통합 |
일상으로의 복귀 |
조언/과제주기등을 통해 긍정화. |
* Herman의 3단계
1. 안전단계 (safety) 에서는 신체적/정서적 뿐만이 아니라 환경적(법/경제적) 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합니다. 안전확보를 위한 정보제공이나 심리교육등이 이루어져야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아웃리치기법과 옹호가 있습니다.
아웃리치란 상담실밖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실질적인 안전확보 도움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가정폭력을 당한 피해여성이 자신의 삶의 터전을 버리고 쉼터에 가는 상황이 필요하다면 법원이나 경찰서를 동반 방문해주는 것을 아웃리치라고 합니다.
그리고 위의 안전단계에서는 세상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내담자에게 ‘옹호’기법을 사용하면 효과적일 수 있겠습니다.
2. 기억과 애도 ( Remembrance & Mouring )
외상반응 소거, 인지 재처리, 정서조절, 대처기술 익히는 단계.
3. 일상으로의 복귀. (Reconnection)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단계
조언과 과제주기가 효과적.
* Terr의 외상사건 분류체계
Type 1 |
Type 2 |
1회성 재난사건. (자연재해나 교통사고등) 디브리핑이 효과적 |
장기적/만성적 가정폭력이나 성폭력, 아동학대등. 디브리핑은 부작용 다분. |
* 일반적 증후군 3단계 (General Adaptation Syndrome)
경고 -> 저항 -> 소진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수준을 기반으로 3단계로 분류한 것인데
스트레스에 관해서 적절한 대처로 저항을 하게 되면 정상적인 저항수준으로 되돌아오지만
외상반응을 일으키는 교감신경의 과다활성화가 지속되어 소진단계로 접어들게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싸움과 도피반응 대 다중미주신경이론 (The Polyvagal Perspective)
1단계. 비움직임
외상반응 -> 경직.
외상반응에 자율신경계가 과잉활성화되면 경직이 이루어지는데 곤충도 자율신경계가 과잉활성화되면 경직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2단계. 움직임.
외상반응 -> 움직임.
싸움이나 도피를 담당하는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움직임’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맹수를 만났을 때 식은땀이 나고 심장이 빨라지고 나도 모르게 도주하게 되었다면
그것은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움직임’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1단계 비움직임단계가 2단계 움직임단계보다 해리발전이 더 크다고 하니, 외상반응이 경직으로 나타나는 사람들은 해리발전을 염두해두어야 겠습니다.
*각성의 창 (Window of Tolerance)
통합하기에 너무 많은 각성이 일어나는 교감신경 과각성이 되지않도록,
그렇다고 통합되기에 너무 낮은 각성인 경직 동결이 되지않도록 적절하고 통제된 각성 WT를
유지하는 외상후 스트레스 해소법이 되겠습니다.
* 공존병리
공존병리란 같은 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존재하고 발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동학대를 당해온 성인남성이 상담사에게 찾아와서 ‘대인관계’에 관한 문제로 상담을 요청해올 수 있는데, 상담사는 그사람의 대인관계에 관한 문제만 생각할게 아니라 공존병리를 염두해두고 아동학대를 당한 트라우마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해야겠으며, 꼭 아동학대뿐만이 아니라 다른 트라우마도 존재할 수 있겠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상담에 임해야겠습니다.
* 외장치료에는 결정적 시기가 존재 : Critical Period
* PTSD의 효과적인 치료기법
-노출치료 -안전기반치료
-현재중심치료 -EMDR
-인지처리치료
*EMDR :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Reprocessing
우리는 얕은수면 Rem수면에 빠질 때 눈 좌우를 움직이면서 뇌가 기억이나 감정을 처리하고 통합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담자의 눈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PTSD를 긍정적으로 재인지, 재통합하게 하는 기법입니다.
* 인지처리 방식들
1. 과대평가 / 과소평가
2. 재앙화 (점쟁이의 예언) : 거봐. 내가 안될거라고 말했지?
3. 흑백논리, 도 아니면 모
4. 부정적인면 확대해석
5. 감정적 추론 : 어쩐지 저사람은 기분이 나빴어.
6. 명명하기 (딱지붙이기) : 나는 어쩔 수 없는 패배자야.
7. 정신적여과 (선택적추상) : 보고싶은것만 보고, 믿고싶은것만 믿는다.
8. 독심술 (지레짐작) : B학점 주셨네. 교수님은 나를 싫어하시나보다.
9. 지나친 일반화
10. 무조건 내탓
11. 당위진술 : 여자는 반드시 몸가짐을 조심해야한다.
12. 터널시야 : 시야가 좁은 경우
* DSM-5 진단기준
1. 신경발달장애
(1) 지적장애 |
(2) 의사소통장애 |
(3) 자폐스펙트럼장애 |
(4)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
(5) 특정학습장애 |
(6) 운동장애 발달성운동장애, 정형적운동장애, 틱장애 |
2.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1) 분열성 성격장애 |
(2) 망상장애 |
(3) 단기정신증적 장애. 6개월미만 |
(4) 정신분열증. 6개월이상 |
(5) 분열정동장애. 분열증+조울증 |
|
3. 양극성 및 관련장애 = 조울증
(1). manic episode 조증삽화 - 제 1형 양극성 장애
(2). hypomanic episode 경조증삽화 - 제 2형 양극성 장애
4. 우울장애
(1) 주요우울장애 |
(2) 지속성 우울장애. 경미한 우울 |
(3) 월경전기불쾌장애 |
(4) 파괴적 기분조절곤란 장애 |
5. 불안장애
(1) 범불안장애 |
(2) 특정공포증 |
(3) 광장공포증 |
(4) 사회불안장애 |
(5) 공황장애 |
|
기타 : 선택적 무언증, 분리불안장애
6. 강박 및 관련장애
(1) 신체변형장애 |
(2) 저장장애 |
(3) 모발뽑기장애 |
(4) 피부 벗기기 장애 |
7.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PTSD
-반응성 애착장애 : 5세이하 아동이 정서적으로 타인과의 접촉 회피.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 아동이 처음 본 어른에게 과도한 친밀함.
8. 해리장애
- 해리성 기억 상실증 - 해리성 정체감장애 : 이중인격
- 이인증 / 비현실감장애
9.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장애
- 전환장애 : 신경학적 손상을 암시
- 허위성장애 : 환자이길 자처
10. 급식 및 섭식 장애
- 신경성 식용부진 , 신경성 폭식증 : 많이 먹은 후 구토등을 통한 보상행동을 실행.
- 폭식장애 : 보상행동은 하지 않는다. - 이식증
- 반추장애 : 음식을 반복적으로 되씹거나 토함.
-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 장애
11. 배설장애
-유뇨증 , 유분증
12. 수면-각성 장애
불면장애 |
과다수면장애 |
수면발작증 |
호흡관련수면장애 |
일주기 리듬 수면 각성장애 |
비REM수면 각성장애 : 몽유병/자율신경계 과잉활성화되어 잠에서 깸 |
초조성 다리 증후군 |
물질/약물 유도성 수면장애 |
악몽장애 |
REM수면 행동장애 : 잠자리 고약 |
13. 성기능 장애
남성 |
여성 |
-조루증 -지루증 -발기부전 -남성 성욕감퇴 |
-여성 성적관심흥분장애 -여성 절정감장애 -생식기 골반통증 삽입장애 |
14. 성불편증
15. 파괴적 충동 통제 및 품행 장애
적대적반항장애, 품행장애, 반사회적성격장애, 간헐적 폭발성장애, 도벽증, 방화증
16.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
도박장애, 알콜중독, 게임중독, 약물 유동성 중독장애 등
17. 신경인지장애
에이즈나 치매등 다양한 이유로 뇌의 심각한 손상을 입어서 찾아오는 장애
-주요 신경인지장애
-경도 신경인지장애
-섬망
18. 성격장애
A군 성격장애 |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의 의도를 적대적으로 해석. 불신 -분열성 성격장애 : 감정표현이없고 대인관계 기피 |
B군 성격장애 |
-반사회성 성격장애 -연극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 대인관계,감정,자기상이 매우 불안. 충동적행동, 자살, 자해. -자기애성 성격장애 |
C군 성격장애 |
-회피성 성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
19. 성도착장애
관음증, 노출증, 접촉마찰장애, 성적피학장애, 성적가학장애, 아동성애장애, 성애물장애,
의상전환 장애
20. 기타 정신 장애
*트라우마 체계 치료 (TST ; trauma system therapy)
1.치료는 발달적 정보가 필요
2.사회생태학적 접근
3. 돌봄체계와 연계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환경적/생태적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함.
생태적 문제 : 교감신경보다는 자율신경계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경직형인가?
사회적 : 지금 고교신분인가? 대딩신분인가? 백수신분인가?
생태학적 : 지금 소속된곳은? 머물고있는 곳은?
돌봄체계와 연계 : 일진새끼들이 찐따 괴롭히면 찐따에게는 폭력상담소가 돌봄체계.
'조사해본것들 > 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환경과 돌봄체계 (0) | 2017.04.10 |
---|---|
정서상태, 외상후 성장, TCFF (0) | 2017.03.31 |
아동기외상과 성인기 우울 (0) | 2017.03.26 |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0) | 2017.03.09 |
1장. 나는 왜 병신인가? - 트라우마 (4) | 201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