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개념화 양식 Trauma Case Formulation Frame Work. TCFF
- 트라우마 사건 특성
- 심리적 증상
- 증상을 유지시키는 심리적 기제
- 치료 목표
- 치료 전략
1. 인지처리 치료
2. EMDR
3. 안전추구치료
4. 지속적 노출 치료
5. 현재중심치료
6. 변증법적 행동치료.
PTSD는 주로 노출치료.
단, 정서적 고통이 수반되기 때문에 정서조절 능력, 일상문제 관리능력, 안정화 능력이 선행되어야함.
PTSD 대부분 사람들 정서조절 능력 손상.
그래서 "안정화"에 초점.
1단계 치료 : 안전추구치료, 현재중심치료
1단계 치료이후에는 2단계 기억 처리단계치료.
개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1단계, 2단계는 유동적으로 변동가능.
* 인지처리 치료 : 내가 뭔 잘못을? > 난잘못한게 없는데 세상이 위험하구나.
잘못된 인지도식을 개선.
하지만 자해, 자살시도, 물질 사용자들은 제외.
* 변증법적 행동 치료 : 1단계 해당
심각한 자기파괴 경계선 성격장애 대상.
생물학적 취약성 지닌 사람이 자기 특성 타당화 안될때 발생.
생물학적 취약성 : 선천적 또는 후천적 예민 ,민감
이치료의 목표는 대인관계 효율성을 높이는 것.
* EMDR
* 지속적 노출 치료 : 2단계
실제상황 노출, 상상 노출 > 공포 둔감화
* 현재중심 집단 치료 : 1단계
아동기 반복적 성학대 경험 여성중
신뢰롭고 친밀형성 어렵 또는 성관련 위험행동 하는 사람들이 대상자.
하지만 자해, 자살, 정신증, 물질남용, 위혀적인 성향은 제외.
* 과거 성학대경험 > 대인관계 신뢰 안정감 손상
> 병리적인 대인관계 신념 > 부정적 의미 내면화
치료 : 역기능적 행동 패던을 규명.
역기능적 행동 패턴 : 다시 성희생자로, 물질남용.
자신과 타인의 신념 재구성, 친밀감 신뢰를 높인다.
* 안전 추구치료 : 1단계
물질 사용장애에 효과적.
자기 파괴식 행동, 위험한 관계, 물질사용으로부터 신ㄹ체적/ 심리적 안전확보 대처 훈련.
'조사해본것들 > 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 요령 (0) | 2017.04.18 |
---|---|
TST 치료원리 (0) | 2017.04.14 |
사회환경과 돌봄체계 (0) | 2017.04.10 |
정서상태, 외상후 성장, TCFF (0) | 2017.03.31 |
아동기외상과 성인기 우울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