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해본것들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회환경과 돌봄체계 * 고양이털 실험 어린쥐들을 대상. 고양이털 제시되자 놀이가 감소. 고양이털 제거 이후에도 놀이활동 활성이 예전처럼 회복이 안됨. 트라우마 가진 아이들은 고양이털 가득한 방에서 사는것. 심지어 고양이와 함께 살수도.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것이 중요. 고양이털 제거 불가능하다면 대처기능 습득시켜주는것이 바람직. "고양이털이 편도체를 자극해 부정적인 정서가 의식을 마비시킨다." "관계가 우선" 돌봄의 신호로 가득찬 곳. 1. 돌봄받는 느낌 어필 선행 2. 대인관계를 통한 정보교환 3. 돌봄 받는 느낌의 경험은 전환 될 수 있다. "역전이" 발생시 이용. 내가 느끼는 답답함은 상대의 답답함. * 부모의 죽음 ㅡ> 생의 발달과정중 일부 하지만 성장기 이전에는 치명적인 외상. 사회적 지지가 고통을 조절하는 중요.. 더보기 이전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