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사해본것들/위기

경험회피와 해리

*75% 인구는 생애 1개이상의 외상경험.

PTSD 유병률은 6.8%

 

*침습적 외상기억

많은 사람들은 외상을 떠올리는 단서를 피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는데

사적경험을 억제하려는 시도는 '반동효과' 불러일으킨다.

(사적경험을 억제하려는 시도 ; 경험회피)

기억을 지우려할 수록 결과적으로 경험에 대한 접근성과 민감성을 높이게 된다.

 

*경험회피적인 대처 

-> 심리적인 부적응 증상/재경험.

-> 과각성등 외상증상을 유지시키거나 촉진.

 

* 수용중심치료 Acceptance Based Therapy

알아차림 인지치료 Mindfulness-Based Congnitive Therapy MBCT

변증법적 행동치료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수용전념치료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ACT

 

* 해리 : 압도적인 외상사건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상적인 의식으로부터 분리하는 현상.

외상 : 싸우거나 도망치기 어려운 상황에서 쉽게 발생.

일반인도 해리성향.

해리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나 불안등 불편감을 과장되게 보고.

해리 : 정서적 마비측면, 일종의 경험회피하려는 견해.

 

* 경험회피              vs              해리

1. 과도하게 평가하려는 경향성     vs    자동적/심리적/무의식적 방어기제

2. 기꺼이 경험하기를 꺼려함

3. 통제하거나 회피하려는 노력

 

* 모델

 

* 수용전념치료 ACT가 심리적 부적응 , 외상증상 완화에 좋다.

경험회피 안하고 수용할수록 > 심리적 부적응도 낮아짐.

 

* 원치않은 침습적외상 기억에 대한 경험회피가 외상증상 악화.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험을 온전히 평가하지않고 자신의 경험으로 수용할수 있도록

도와줘야...

침습적 외상기억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다.

지금 여기에서 경험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대상. 곧 자기수용.

 

 

* 치료적 동맹에서 중요한것.

1. 보호자는 문제를 무엇이라고 보고 있는가?

2. 아동은 문제를 무엇이라고 보고 있는가?

3. 보호자와 아동은 그들의 가족 및 삶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기를 바라는가?

 

 

 

 

 

 

'조사해본것들 > 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별에 따른 ptsd  (0) 2017.05.12
현장에서 안정화 시키기  (0) 2017.05.12
외상후성장, 평가와 치료계획  (0) 2017.04.21
상담 요령  (0) 2017.04.18
TST 치료원리  (0) 2017.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