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해본것들/통계
통계 점검2
덕광후ㅋㅋ
2017. 5. 19. 14:04
카이검증은 표본추출할 때 표본비율이 달라지는것에 기초한다.
예를들어 300명중 100명을 뽑을 때 남녀간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것이다.
두분류적 변수들간의 상관계수가 차이가 없다는것을 보이기 위한게 카이검증인데,
카이제곱 = 118.50 p = 0.000 으로
알파 = 0.05보다 작아서 유의하다. 즉 국가에 따라 국민들이 FTA에 찬반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다르다.
심리학과와 타학과생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심리학과 학생들은 평균 6.25의 행복을 느꼈고, 타학과생들은 평균 3.95의 행복을 느꼈다.
등분산이 지지되어을때 F값은 2.998이었고
t는 3.230으로서 유의확률이 0.003으로 나왔는데 95% 신뢰구간이니 통상 0.05이내에 들면 차이가 있다.
양쪽 유의 확률이 0.003이니
좌우에서 알파 = 0.025 보다 작으므로 유의하다. 즉 타학과생보다 심리학과 학생들이 더 행복하다.
* F 검증을 실시 할 수 있는 3가지 조건
1. 종속변인 측정의 독립성이 충족되어야한다.
2. 조건간 변량의 동질성이 충족되어야한다.
3. 종속변인이 정규분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