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불안하면 실험불안X , 그것은 범불안.
인지적때문에 얘가 불안하나?
정서적때문에 얘가 불안하나? (상태불안/대처불안) ㅡ> 부모와의 관계, 자기비합리적인 신념등
행동주의적으로 대처기법 : 체계적둔감화, 게슈탈트 기법.
시험불안
- 특성불안 : 개인
- 상태불안 : 특수한 상황
-감정 : 정서적 측면
-걱정 : 인지적 측면
비판 = 초자아
l
자의식 -> 눈치, 의식
털 중성자극 + 혐오자극 > 일반화
The little Albert : 36세 정신병 사망
자기교시 Self - instruction
"나는 괜찮을거야." (소리o)
"나는괜찮을거야." (소리x) 내재화.
CBT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 activating Event
B: belief
C: Consequence
사고
정서 행동
"저것도 나를 무시하네?"
모두가 무시하는거같아. 패턴화.
무시하는 근거 찾기 ... 그러다보면 근거 없음.
무동기 대부분은 성취경험이 없다.
작은성취를 이루게 해주는게 중요. 목표설정
can do!
시험불안은 정서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으로 나뉘어진다.
1. 욕구이론적접근 : 과제수행욕구는 과제수행을 촉진. 하지만 불안욕구는 과제수행을 방해.
2. 정신역동적접근 :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의 관계.
3. 행동주의적접근: 조건형성이 잘못 이루어져서... 우연히 시험 못치루었는데 그날의 컨디션만되면 징크스.
4. 인지주의적접근
- 인지적 간섭모델 : 부정적인 내적대화를 하면서 걱정
- 인지적 결핍모델 : 학습전략의 부족
- 통합적 모델 : 인지적 간섭 + 인지적 결핍
- 상화교류적 과정 모델 : 특성불안/상태불안
상담 실제
1. 상담관계 형성과 상담구조화
2. 시험불안의 진단
3. 상담목표의 설정 (구체적이어야하고 단계적이어야, 작은성취가 중요)
4. 개입전략 설정 및 개입
5. 사례관리
'조사해본것들 >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성검사 동작성검사 (0) | 2017.05.01 |
---|---|
집중력 (0) | 2017.05.01 |
학습 상담의 절차 (0) | 2017.04.10 |
Scaffolding & good enough mother의 상관관계 (0) | 2017.04.03 |
학습에 관한 진단 및 평가 (0) | 2017.03.27 |